‘사과도 수입한다고?’ 암암리에 진행되던 일들이 현실로 나타나니 그야말로 뜨악할 따름이다. ‘사과값이 금값’ 이라는 호들갑에, 정부가 짐짓 모르는 척, 언론의 질문에 마지못해 답변하는 척 사과수입을 공식화하고 있는게 지금의 상황이다.

농업계는 사과 수입을 꿈에도 생각지 못했다는 분위기다. 사실 쌀이나 쇠고기 수입 결정 때와 사뭇 강도가 약하고, 전혀 예상치 못했던 건 아니지만, 사과값을 낮추는 방법으로 수입사과를 선택했다는 것이 못마땅하다는 반응이다.

정부는 일본, 미국, 호주, 뉴질랜드 등 많은 나라들이 수입개방을 요구하고 있고, 이와 관련한 농식물 검역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. 물론 외래 병해충 유입위험 때문에 실제 수입이 현실화되기 까지는 꽤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.

하지만 알려진 바, 협상 관련 뒷얘기를 보면 머지않은 듯 보인다. 미국이 31년째 수입개방 압력을 행사하고 있고, 차세대 통상교역 장치로 대두된 ‘인도·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(IPEF) 협정’ 발효 날짜가 머지않아, 더이상 ‘외래 병해충 유입 위험’ 을 이유로 검역협상을 늦추는게 어려워질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. 주된 방법은 ‘농장단위’ 검역 및 수입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.

수출국에 주요 병해충이 발생하면 수입을 거부할 수 있는 조건이 되지만, 발생지역과 멀리 떨어져 있거나 발생하지 않은 지역의 농축산물은 수입을 거부할 수 없다는 말이다. 다만, 정부 전언대로라면 검역절차상 당장 몇 년안에 수입되진 않을 것으로 전망이다.

하지만, 수입이 현실화 됐을 때를 가정해 준비해야 할 것이다. 국내 소비자들의 정서는 농업계와 달리 수입과일에 대단히 유연하다. 맛만 있으면 굳이 수입산 여부를 따지지 않는 것이다.

때문에 사과를 비롯한 국내 과일산업의 방향을 곧추세워야 한다. 맛을 위주로 고품질화 할 것인지, 수입과일과 가격경쟁력을 위한 다수확을 추구할 것인지 말이다.  소비자 수요에 맞춘 선택과 집중의 묘를 찾아야 하는 기로에 서게 됐다.

저작권자 ©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